04 그녀는 도시에서 자유를 그린다

[공주형 미술세계] 그녀는 도시에서 자유를 그린다 2009-12-01 19면 (서울신문)

 

계절이 바뀌고 있습니다. 무심코 내다본 차창 밖 휑한 도심의 거리에 플라타너스 마른 잎이 나뒹굴고 있습니다. 마음이 헛헛합니다. 도시를 떠나고 싶습니다. 어디론가 가고 싶습니다. 열심히 일한 당신 떠나라던 광고 문구 생각이 납니다. 하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18개를 비교해 본 결과 하루 평균 7.8시간으로 가장 적게 자면서 열심히 일을 하고도 쉽게 떠날 수 없는 것이 우리의 현실입니다. 수많은 의무와 약속으로 점철된 도시의 삶이 발목을 단단히 잡고 놓아주지 않습니다.

 

도시인들에게 여행은 오늘 당장 할 일이 아닙니다. 언젠가의 꿈일 뿐입니다. 이런 저런 생각의 끝자락에서 얼마 전 인천, 홍콩, 요코하마 세 도시를 다녀왔다는 박상희를 떠올립니다. 작업실 가득했던 그림들을 생각합니다. 도시 상점의 간판을 만들 때 사용하는 접착 시트지를 여러 겹 붙인 위에 칼과 붓으로 새기고 그려 넣은 그 때 만난 도시의 밤 풍경들이었습니다.

 

도시와 만나는 박상희의 방식에는 특별함이 있습니다. 그는 구경꾼처럼 백만달러짜리 가격표가 붙은 현란한 야경에 온전히 시선을 빼앗기지 않습니다. 행인처럼 작은 걸음 하나를 옮길 때마다 이해득실을 따지며 도시를 오가지도 않습니다. 도시의 산보자입니다. 그저 특별한 목적 없이 스스로 ‘보물 창고’라 부르는 도시를 자유롭게 거닙니다.

 

이루려 하는 일 없이 오래된 도시 요코하마를 걷다 고풍스러운 유치원을 만납니다. 한 번도 만나지 못한 과거의 누군가가 지어놓은 건물 안에 오늘의 아이들이 왁자지껄합니다. 문득 나의 현재는 온전히 나의 것이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가고자 하는 방향 없이 인천을 거닐다 미래 도시 신축 현장 앞에 섰습니다. 앞으로 만나게 될 우리들 미래의 높이에 아찔해집니다. 순간 나의 미래에 건 욕망의 크기가 너무 과한 것은 아닌지 되돌아봅니다. ‘살아있는 모든 것은 다 흔들린다.’ 꼭 달성할 목적 없이 홍콩을 헤매다 흔들리는 네온사인 사이에서 어느 시인의 시구 한 구절을 떠올립니다. 비로소 흔들리는 존재의 이유를 깨닫습니다. 살아있음이었습니다. 낯선 곳에서 길을 헤매다 생에 대한 긍정과 조우합니다.

 

벤야민은 도시를 여러 시대의 시간 층이 미로처럼 얽혀 있는 공간이라 정의합니다. 바로 이곳에서의 산보는 공간의 경험을 시간의 체험으로 바꾸어 놓습니다. 다시 시간의 체험을 존재의 확인으로 돌려놓습니다. 이 과정에서 회복되는 것은 역사적, 지역적 개성을 덜어내고 대동소이해진 도시성만이 아닙니다. 세상의 기준에 맞추어져 평준화된 채 도시에서 살아왔던 자아이기도 합니다.

 

알랭 드 보통은 ‘여행의 기술’에서 “떠들썩한 세상의 차량들 한가운데서 수심에 잠길 때”가 바로 여행의 적기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도시 한 가운데서 수심이 깊어져도 도시에서 얻은 노여움과 천박한 욕망을 무디게 할 자연을 찾아 떠나기 힘들고, 떠났다가도 결국 다시 도시로 돌아와 머물며 살 수밖에 없는 도시인들에게 정작 필요한 것은 ‘삶의 기술’이 아닐까요. 반복되는 도시의 삶 자체를 날마다의 산보로 만드는.

<미술평론가>